만료일 D-30에 끝내는 월세 보증금 반환 내용증명 작성 가이드


본문
임대차가 끝났는데 돌려받지 못한 보증금, 정확한 문장과 증빙으로 요구해야 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작성하면 불필요한 공방을 줄이고, 다음 조치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임대차 정보 주소·계약일·기간 · 종료 사유 만료 또는 합의해지 · 보증금 총액과 공제 항목(미납 임대료·원상복구 등) · 청구 금액 반환을 요구하는 정확한 금액 · 지급 기한 통지 받은 날로부터 ○일 · 입금 계좌 은행·예금주 · 인도 계획 열쇠·관리카드 반납 방식
필요 시 전화 통화 요약을 덧붙여 경과를 남기면 분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① 만료 30일 전: 계약 종료 안내 및 보증금 정산 협의 시작. ② 만료 7~10일 전: 반환 계획 미확정 시 내용증명 초안 확정. ③ 만료일 당일: 점유 인도·계량기 사진·열쇠 회수 기록. ④ 만료 후 7일: 미지급 시 추가 서면 통지. ⑤ 그 이후: 지급명령·소송 또는 임차권 등기명령 등 다음 절차로 전환을 검토합니다.
공제 항목은 객관 자료로만 적습니다. 원상복구·청소비는 사진·견적·계약서 조항으로 근거를 붙입니다. 확정일자·전입신고는 우선변제권 등 권리 보호와 관련되므로 보관 증빙을 챙기세요. 배달증명을 함께 신청하면 수취·미수취 여부가 문서로 남습니다. 문구는 단호하되 감정 표현은 배제하고, 기한과 계좌 정보를 반복 표기해 누락을 막습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초기 비용 부담 없이 진행 방향을 설계해 드립니다. 전화가 어려운 시간에는 아래에서 자료를 요청해 주시면, 업무시간에 연락드립니다.
본 글은 일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안별 사실관계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