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등기명령 신청서 예시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2025-11-11 11:27
149
0
본문
임차권등기명령 신청서 예시로 빠르게 감 잡기
실무에서 자주 묻는 항목을 중심으로, 실제 작성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핵심 포인트와 기재 예문을 정리했습니다. 처음 작성하시는 분도 이 흐름대로 진행하면 막힘 없이 제출 준비를 끝낼 수 있습니다.
대상전세계약 종료·보증금 미반환·퇴거 예정 임차인
핵심 준비물계약서, 전입·확정일자, 보증금 미반환 사유 입증 자료
제출 위치임차주택 소재지 관할 법원
신청서 작성, 이 3가지만 지키면 안전합니다
① 사실관계 일치 — 계약 기간·보증금·거주 이력·퇴거(예정)일 등 시간축을 먼저 정리해 두면 항목 충돌이 없습니다.
② 입증자료 연결 — 각 기재란 옆에 어떤 자료로 뒷받침하는지 메모하세요. 계약서는 계약 내용, 전입/확정은 권리요건, 문자·통화내역은 반환요청 사실에 대응합니다.
③ 관할·당사자 정확 — 주소·지번·동·호, 임대인 인적사항을 등본·등기부와 동일하게 옮깁니다. 오탈자·누락은 접수 지연의 주요 원인입니다.
신청서 예시 그대로 따라 적어보세요
당사자
신청인(임차인) 홍길동 / 상대방(임대인) 김임대
목적물
서울시 ○○구 ○○로 123, ○○아파트 101동 1001호 (전용면적 ○㎡)
임대차 요지
보증금 ○○,○○○,○○○원, 기간 2023.03.01.~2025.02.28. (계약서 사본 첨부)
대항요건
전입신고 2023.03.02. / 확정일자 2023.03.02. (주민등록표 등·확정일자 확인원 첨부)
퇴거(예정)
2025.03.05. 이사 예정. 보증금 반환청구에도 미반환(문자·내용증명 첨부).
신청취지
위 주택에 관하여 임차권등기명령을 내려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이유
임대차 종료·미반환 사실, 대항요건 보유, 퇴거 필요성을 간단 명료하게 5~7문장 이내로 정리합니다.
첨부목록
① 임대차계약서 사본 ② 주민등록표 등본·전입세대열람내역 ③ 확정일자 확인서 ④ 반환요청 입증자료(문자/통화/내용증명) ⑤ 부동산등기부 등본 ⑥ 신분증 사본
※ 예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형식 설명입니다. 실제 사실관계와 증빙자료에 맞춰 수정하세요.
접수 전 마지막 점검: 순서대로 확인하세요
1) 관할 확인
임차주택 소재지 기준 법원을 확인합니다.
임차주택 소재지 기준 법원을 확인합니다.
2) 사실관계 타임라인 정리
계약→전입/확정→반환요청→퇴거(예정) 순으로 날짜를 일치시킵니다.
계약→전입/확정→반환요청→퇴거(예정) 순으로 날짜를 일치시킵니다.
3) 신청서 작성
당사자·목적물·신청취지·신청이유를 간결하게. 불필요한 주장·추정 표현은 피합니다.
당사자·목적물·신청취지·신청이유를 간결하게. 불필요한 주장·추정 표현은 피합니다.
4) 증빙 첨부
각 기재란과 1:1로 연결되는 자료가 있는지 체크리스트로 대조합니다.
각 기재란과 1:1로 연결되는 자료가 있는지 체크리스트로 대조합니다.
5) 제출 및 보정 대비
연락처를 정확히 기재하고, 보정요구가 오면 기한 내 보완합니다.
연락처를 정확히 기재하고, 보정요구가 오면 기한 내 보완합니다.
초심자가 가장 많이 틀리는 4가지
주소 표기 불일치등기부·계약서·주민등록 주소가 서로 다르면 보정 사유가 됩니다.
금액 단위 오류쉼표·한글 금액 병기, 숫자 오탈자에 유의하세요.
기간 착오종료일과 퇴거일, 확정일자 날짜가 충돌하지 않도록 점검합니다.
입증자료 누락반환요청 사실을 보여주는 통신기록을 빠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성부터 제출까지, 전화 한 통으로 확인하세요
전세금 반환을 준비하면서 신청서 작성에 막히셨다면 지금 바로 전문가 점검을 받아보세요. 사실관계와 증빙 연결만 명확해도 접수 속도가 크게 달라집니다.
상담 가능 시간: 평일 10:00~18:00 (공휴일 휴무 / 12:00~13:00 점심시간)
알림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신청서
#작성예시
#첨부서류
#관할법원
#전입세대열람내역
#확정일자
#보증금반환
#내용증명
#해제말소
#전세금반환소송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