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반환 소송 셀프로 시작하는 가장 빠른 순서 5단계


본문
전세금 반환 소송 셀프로 시작하는 가장 빠른 순서 5단계
만기 후 보증금이 돌아오지 않나요? 준비→보호조치→청구→전환→집행까지,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한 페이지에 정리했습니다.
1) 만기 직후, 셀프 진행을 위한 핵심 준비
기본 서류 체크
- 임대차계약서, 보증금 송금 내역, 전입신고·확정일자, 열쇠 인도·퇴거 관련 자료를 모읍니다.
- 만기·해지 통지 기록을 남깁니다. 내용증명은 분쟁 시 입증에 유용합니다.
- 반환 요구일과 계좌를 명확히 적어 증거로 보관합니다.
관할과 방식
청구 또는 신청은 보통 임대인 주소지 또는 주택 소재지 관할 법원에서 이루어집니다. 온라인 전자소송으로 접수·열람·송달이 가능합니다.
2) 주택을 비워야 한다면, 임차권 등기명령으로 권리 보전
만기 후 보증금이 미반환된 상태에서 이사를 해야 한다면, 임차권 등기명령을 신청해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 보호에 도움이 되도록 조치합니다. 신청은 주택 소재지 관할 법원에 할 수 있으며, 신청서에는 당사자와 임차 주택 표시, 임대차 기간·보증금, 미반환 사실 등이 기재됩니다. 등기가 완료되면 이전 거주지에서 이사해도 권리 보호에 유리해집니다.
3) 빠른 결정을 원하면, 지급명령으로 먼저 청구
지급명령은 서면 심사 중심 절차로서 비교적 신속하게 결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에게 송달된 뒤 정해진 기간 내 이의가 없으면 확정되어 강제집행의 기반이 됩니다. 이의가 있으면 통상의 소송으로 전환되지만, 초기 대응으로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전자소송에서 양식을 선택해 청구취지·원인을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 인지액과 송달료를 납부하고, 송달 후 진행 상황을 온라인으로 확인합니다.
4) 이의 제기 시, 주장·입증을 갖춘 소송으로 전환
임대인이 이의하면 본안 소송에서 임대차 종료, 반환 요구, 미반환 사실과 금액을 중심으로 주장과 증거를 체계화합니다. 분쟁 금액과 쟁점에 따라 신속한 심리를 위한 절차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소송을 통해 서류 제출과 기일 통지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5) 확정 뒤에는 집행으로 보증금 회수
결정 또는 판결이 확정되면 확정증명원을 발급받아 임대인 예금·급여·부동산 등에 대한 압류·추심·경매 등 강제집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집행 전 재산 파악과 순서 설정이 중요합니다.
셀프로 진행할 때 기억할 6가지 체크리스트
① 기한
만기 전후 소통 기록을 남기고, 반환 요구일을 특정합니다.
② 증거
송금 내역, 통지문, 수신 확인 자료를 체계적으로 저장합니다.
③ 관할
임대인 주소지 또는 주택 소재지 관할을 확인합니다.
④ 방식
임차권 등기명령으로 권리 보호 후 지급명령 또는 소송을 선택합니다.
⑤ 온라인
전자소송으로 접수·열람·송달을 이용하면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⑥ 집행
확정 후 압류·추심·경매 등 집행 절차까지 이어갈 계획을 세웁니다.
셀프로 시작했지만, 전문가 도움이 필요할 때
안내 및 유의사항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