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보증금 받기 전 전출 안전하게 하는 법|대항력 지키는 순서와 체크리스트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월세 보증금 받기 전 전출 안전하게 하는 법|대항력 지키는 순서와 체크리스트

profile_image
법도
2025-11-09 13:18 174 0

본문

월세 보증금 받기 전 전출 안전하게 하는 법|대항력 지키는 순서와 체크리스트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월세 보증금 받기 전 전출, 대항력 잃지 않는 안전한 순서

계약이 끝났는데 아직 반환이 지연된다면, 전출 타이밍과 신청 절차가 핵심입니다. 아래 순서를 그대로 점검하면 권리를 지키면서 이사 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핵심 가이드

전출 전 필수 체크: 대항력·우선변제권 지키는 4단계

1) 종료 정리와 증거 확보 — 만기 도래 또는 합의 해지 사유를 정리하고, 통지 기록(내용증명 등)과 임대차계약서 원본을 챙깁니다.
2)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 관할 법원에 접수합니다. 결정 송달 후 등기부등본에 임차권 등기가 기재되면, 이미 취득한 대항력·우선변제권은 전출 후에도 유지됩니다.
3) 등기 완료 확인 후 전출 — 등기 기재 확인 이전에 전출하면 종전 주소의 전입·점유 요건이 풀려 대항력 상실 위험이 큽니다. 반드시 등기 완료를 확인한 뒤 전출·이사로 이어가세요.
4) 새 주소 관리 — 새 집 전입신고·확정일자는 이사 일정과 맞춰 진행하세요. 필요 시 배당요구, 지연손해금 청구, 소송 진행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주의 —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만 해두고 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전출하면, 종전 주택에 대한 대항력이 소멸될 수 있습니다. 결정·등기 완료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보증금 받기 전에 전출하면 바로 권리가 사라지나요?

아니요. 이미 전입신고와 점유로 대항력, 확정일자로 우선변제권을 갖춘 상태라면, 임차권등기명령의 등기가 완료된 이후 전출할 때 권리가 유지됩니다. 반대로, 등기 이전 전출은 대항력 상실 위험이 크므로 타임라인 관리를 세밀하게 해야 합니다.

  • 타임라인: 종료 통지 → 임차권등기명령 접수 → 등기 완료 확인 → 전출·이사
  • 서류: 계약서, 주민등록등본(전입 이력), 확정일자, 결정문·등기부등본
  • 추가: 배당요구 기한, 지연손해금 산정, 소송/강제집행 연계 가능성
무료 상담 & 자료

보증금 반환, 지금 바로 안전한 순서 점검하세요

착수금 0원 정책 전담 변호사 직접 진행 경험 기반 체크리스트 제공
홈페이지 열기 무료 승소자료 요청
무료 상담 (10:00~18:00 / 공휴일 휴무, 점심 12:00~13:00) ☎ 02-591-5662

사건을 의뢰하시면 전담 변호사 1인이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진행합니다. 경험 많은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알림

이용 전 확인하세요

본 페이지의 정보는 일반적인 상황을 전제로 한 안내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태그

관련 키워드

#월세보증금 #전출 #대항력 #우선변제권 #임차권등기명령 #전입신고 #확정일자 #보증금반환 #배당요구 #내용증명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