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필수 문구와 체크리스트


본문
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
끝나는 날, 한 장으로 정리되도록 필수 항목과 문구를 정확히 담았습니다.
핵심 ①
정해진 공적 양식은 없음
핵심 ②
누가·언제·얼마·무엇 기준
핵심 ③
계좌이체 증빙 함께 보관
언제,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전세계약이 종료되면 금액을 실제로 지급·수령했다는 사실을 남겨야 합니다. 이때 작성하는 문서는 복잡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당사자·대상 주소·계약 기간·반환 금액과 지급 방식·작성일·서명(날인)이 선명하게 드러나야 이후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합의해지나 일부 공제가 있을 땐 금액 산출 근거를 짧게 적고, 빈집 상태 인도 시점과 열쇠·카드 반납 여부까지 함께 적어 두면 좋습니다. 현금으로 주고받은 경우에는 금액을 숫자와 한글 금액으로 병기해 오기나 오해를 막으세요.
전세 보증금 영수증(정산확인서)
임대인/임차인 성명과 연락처(주민번호는 뒷자리 마스킹 권장)
부동산 주소(동·호수), 임대차 기간, 확정일자(있으면 기재)
금액·지급 방식·정산 문구
금액 표시는 총 보증금과 공제 합계, 실제 반환액을 한눈에 보이도록 배치합니다. 관리비·전기·가스 등 공과금 미납이나 원상복구 비용처럼 사전에 합의한 공제 항목이 있다면 간단한 근거와 함께 합계를 쓰고, 계좌이체라면 은행명·계좌번호(뒤자리 일부 마스킹)·예금주·이체일을 적습니다. 아래 예시 문구처럼 작성하면 깔끔합니다. “임차인은 보증금 금 ○○원(₩○○)을 20XX.XX.XX ○○은행 계좌이체로 수령함. 기재된 공제 외 별도 정산 사항 없음.”
마무리 체크리스트
정해진 공용 서식은 없지만, 아래 항목을 빠짐없이 채우면 영수 사실 입증력이 높아집니다.
제목 / 당사자 / 부동산 주소 / 임대차 기간 / 금액(숫자·한글 병기) / 지급 방식 / 작성일 / 서명(날인)
계좌이체 확인증 또는 이체 내역 화면, 집 인도 상태 사진(선택), 공제 근거 자료
현금 거래 시 금액은 숫자+한글로, 개인 정보는 뒷자리 마스킹, 문구는 간결하게
무료 상담으로 상황을 정리하세요
보증금 정산 항목이 복잡하거나 공제 범위가 엇갈린다면 혼자 결정하지 마세요.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착수금 0원 원칙으로 진행하며, 전화 시간에 맞춰 빠르게 방향을 잡아드립니다.
무료 상담 전화평일 10:00~18:00업무시간 외에는 승소자료 요청으로 접수하시면 순서대로 연락드립니다.
빠른 준비물
- 임대차계약서 사본
- 계약 종료 사유(기간 만료/합의해지) 메모
- 계좌이체 확인증 또는 영수 사실 증빙
- 공제 항목 근거(관리비·수리비 등)
※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