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반환 앞두고 내용증명 이렇게 보내면 분쟁 줄고 회수 속도 빨라집니다
본문
전세금 반환 앞둔 분들을 위한 내용증명 실전 작성법과 발송 순서
계약 종료 통보, 반환기한 특정, 계좌 표시, 다음 단계 예고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필요한 표현만 정확히 담아 분쟁은 줄이고 회수는 빠르게 만드세요.
누가 읽으면 도움이 되나요
서면으로 요구했고 상대가 받았다는 점을 남기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후 지급명령·소송·강제집행 단계에서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
내용증명에 반드시 담을 것
기간 만료일 또는 해지 합의·통보일을 특정합니다. (예: “2025. 1. 31. 만료”)
지급 최종기한을 적어 둡니다. (예: “서면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예금주·은행·계좌번호를 기재해 ‘지급 가능 상태’임을 분명히 합니다.
기한 내 미지급 시 지연손해금 및 필요한 법적 절차(지급명령·소송 등)에 착수한다고 예고합니다.
추가 송달지와 연락처를 명시해 불필요한 송달 분쟁을 줄입니다.
보내는 순서와 방식
문장 예시(핵심 표현만 참고)
① 계약종료 고지 — “귀하와 체결한 임대차계약은 2025.01.31. 자로 종료되었습니다.”
② 반환기한 특정 — “본 서면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에 보증금 전액을 아래 계좌로 입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③ 지연손해 안내 — “기한 내 미반환 시 지연손해금과 함께 지급명령 또는 소송 등 법적 절차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④ 계좌 표시 — “예금주 ○○○ / ○○은행 ○○-○○○○-○○○○○○”
내용증명 이후, 상황별 다음 단계
기한 내 미지급이면 지급명령을 먼저 검토합니다. 상대가 이의하면 소송으로 전환됩니다. 장기간 지연·은닉 정황이면 소장을 바로 접수해 집행까지 염두에 둡니다.
이사가 급한 경우에는 임차권등기명령을 통해 대항력·우선변제권을 유지한 채 거주지를 옮기는 방안을 병행합니다. 경매가 진행되면 기한 내 배당요구도 필수입니다.
부분변제 제안에는 서면 합의와 지급기한을 명확히 하고, 합의 전 보증금 반환청구권을 포기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준비물 체크리스트
사실관계가 명확할수록 내용증명의 설득력과 이후 절차의 속도가 올라갑니다.
바로 도움받기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실제 사건 기준으로 내용증명 본문 점검부터 지급명령·소송·강제집행, 그리고 임차권등기명령까지 전 과정을 연결해 드립니다.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시작 장벽을 낮췄습니다.
빠른 상담을 위한 메모
- 계약기간·만료일, 보증금 금액
- 전입신고·확정일자 여부
- 발송한 내용증명 유무(발송일/수취상태)
- 이사 예정일 및 열쇠반납 계획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