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반환 소송 비용 청구 정확히 받는 법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2025-09-11 13:10
46
0
본문
전세금 반환 소송 비용 청구 정확히 받는 방법
소송에서 이겼다면, 실제로 쓴 인지대·송달료·변호사 보수 등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핵심은 소송비용액 확정신청과 근거자료 정리, 그리고 지연손해금·집행까지의 연결입니다.
무엇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
통상적으로 다음 항목들이 대상이 됩니다. 사건 성격과 재판부 판단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니, 증빙을 빠짐없이 모으세요.
- 법원에 납부한 인지대·송달료 전액
- 변호사 보수는 규정 범위 내에서 산입(청구금액 구간별 기준 적용)
- 등기·등본·발급 수수료 등 부대비용(필요서류 제출로 소명)
- 판결 확정 이후 지연손해금(결정문·판결문 기재에 따름)
TIP
수임계약서·영수증·송달료 납부내역·발급 영수증을 한 폴더로 모아두면 확정신청이 매끈합니다.
절차는 이렇게 진행합니다
- 판결 또는 결정 확정 후, 법원이 정한 비용부담 범위를 확인합니다.
- 소송비용액 확정신청서를 1심 법원에 제출(비용계산서 + 소명서류 첨부).
- 상대방의 의견제출 절차를 거쳐 결정이 내려지면 집행문 부여가 가능합니다.
- 상대방이 지급하지 않으면 강제집행(압류·추심·경매)으로 회수합니다.
POINT
결정문을 받으면 바로 상환을 요구하고, 불이행 시 신속히 집행으로 전환해 회수율을 높입니다.
알아두면 유리한 기준
1) 변호사 보수 산입 기준
승소자가 실제로 지급한 전액이 아니라, 청구금액 구간에 따른 표준 기준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수임료가 기준보다 높더라도, 산입액은 기준표에 따라 정해집니다.
2) 일부 승소라면 비율로 배분
인용된 금액 비율에 따라 소송비용 부담이 나뉘는 것이 보통입니다. 판결 주문의 부담비율을 확인하고, 그에 맞춰 확정신청 금액을 계산하세요.
3) 지연손해금과의 연결
판결 확정 후에도 지급이 지체되면, 결정문 또는 판결문에 기재된 이율에 따른 지연손해금이 별도로 불어납니다. 비용상환과 지연손해금 청구를 함께 안내하면 협상력이 커집니다.
현장에서 자주 묻는 질문 요약
Q. 확정신청은 언제 하나요?
A. 판결 또는 비용부담 재판이 확정된 뒤 바로 가능합니다. 통상 결정 이후 집행까지 한 흐름으로 이어갑니다.
Q. 어떤 서류가 꼭 필요하죠?
A. 비용계산서, 납부 영수증, 수임계약서·영수증, 발급 수수료 영수증, 송달료 산출내역 등이 기본입니다.
Q. 집주인이 바로 안 주면?
A. 결정 정본을 근거로 상환을 촉구하고, 불이행 시 압류·추심 등 강제집행으로 회수합니다.
-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시작(조건은 전화로 상세 안내)
- 내용증명 → 임차권 등기명령 → 소송 → 비용확정 → 집행까지 원스톱
- 업무시간 10:00–18:00 (공휴일 휴무/12–13시 점심)
#전세금반환소송비용청구 #소송비용확정신청 #인지대 #송달료 #변호사보수 #지연손해금 #강제집행 #임차권등기명령 #지급명령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