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 등기 완료 뒤 전입 신고 순서 한 번에 정리 대항력 유지 포인트


본문
임차권 등기 완료 뒤 전입 신고, 이렇게 하면 권리 지킨다
이사 일정이 코앞인데 보증금이 묶여 있나요? 임차권 등기와 전입 신고의 올바른 순서를 따라야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태에서 이사를 해야 한다면 임차권 등기를 먼저 마친 뒤 새 집 전입 신고를 진행하세요. 등기가 끝나면 종전 주택에 대한 대항력·우선변제권이 유지되므로 주소를 옮겨도 권리가 보호됩니다. 등기 전에 전출하면 기존 대항력이 소멸할 수 있으니 순서를 꼭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순서와 준비물
권리 보전을 위한 체크 포인트
등기 후 전입 신고를 해도 기존 권리는 유지됩니다
임차권 등기가 완료되면 종전 주택에 대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은 유지됩니다. 따라서 주소를 옮겨도 기존 보증금 보호 효과가 이어집니다.
등기 전에 전출하면 위험합니다
등기 전에 점유를 풀거나 전출하면 대항력이 소멸할 수 있습니다. 이후 등기가 되더라도 새로운 시점부터 권리가 발생하므로, 종전 담보권보다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와의 관계
기존 확정일자가 있다면 등기 후에도 보증금 우선변제 취지에서 함께 고려됩니다. 다만 새 집에서는 별도의 확정일자를 다시 받아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신청부터 등기 완료까지는 법원·등기소 사정, 보정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사 일정이 임박했다면 미리 접수하고 진행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서류는 무엇을 챙기면 좋을까요
임대차계약서, 신분증, 해지 통지 또는 만료 사실을 증명할 자료, 미반환 보증금 내역, 기존 전입·확정일자 확인서류 등을 정리해 두면 절차가 수월합니다.
보증금 수령 후 말소는 언제
보증금 전액 회수 후 말소 신청을 검토합니다. 분쟁 여지가 남아 있거나 집행이 진행 중이면 말소를 서두르지 말고, 상황을 확인한 뒤 정리하세요.
지금 바로 권리 설계 도와드립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전세금 반환 소송·경매·집행까지 착수금 0원으로 시작할 수 있는 체계를 운영합니다. 전화로 현재 상황(계약 종료일, 잔여 보증금, 기존 전입·확정일자, 이사 예정일)을 알려주시면, 안전한 전입 신고 타이밍과 절차를 1:1로 안내해 드립니다.
알림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안에 따라 준비서류·절차·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