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월세 보증금, 계약 끝나고 깔끔하게 돌려받는 순서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본문
부동산 월세 보증금, 계약 끝나고 깔끔하게 돌려받는 순서
계약 만료일 확인 → 상태 점검과 원상복구 → 정산요구 → 지연 시 법적 절차까지. 지금 상황에서 무엇부터 할지 한 화면에 정리했습니다.
01. 만료 체크
종료일·인도일·열쇠반환 시점을 기록하고, 미납관리비·공과금을 함께 정리합니다.
02. 원상복구
통상적 사용으로 인한 마모는 공제 대상이 아니며, 파손·무단변경 등은 수리비 공제가 가능합니다.
03. 지연 대응
지급 지연 시 정식 요구서 → 우체국 내용증명 → 임차권 등기명령·지급명령 순으로 정밀 대응합니다.
돌려받기의 기본 원리,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주택을 인도하고 전입신고(확정일자와 함께)를 갖춘 임차인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통해 보증금 회수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계약 만료 후에는 인도·열쇠반환과 정산요구가 선행되고, 합의가 어렵다면 법적 절차로 전환합니다.
월세 보증금 돌려받기, 단계별 실행 순서
계약 만료·점검
임대차계약서의 종료일을 확인하고, 벽·바닥·가구·가전의 상태를 사진/영상으로 남겨 둡니다.
정산 요청
미납월세·관리비, 수리비 공제항목을 정리해 보증금 반환요구서로 기한을 명확히 통지합니다.
내용증명
기한 내 미지급 시 우체국 내용증명으로 지급기한·계좌·연락처를 특정해 최후통보를 보냅니다.
법적 절차
이행 압박이 필요하면 지급명령(독촉절차) 또는 보증금 반환 소송, 이사 예정이라면 임차권 등기명령을 병행합니다.
공제 가능한가요? 자주 묻는 쟁점 정리
통상 마모 (가구 찍힘, 바닥 생활흠집 등)은 임차인 책임이 아니므로 일반적으로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파손·무단변경 (벽 타공, 시설물 손상 등)은 실비 범위 내에서 수리비가 공제될 수 있습니다.
미납요금 (관리비·전기·가스·수도)은 실제 체납분만 정산하며, 영수증·고지서로 확인해 두세요.
청소비 일괄공제와 같은 포괄적 공제는 분쟁 소지가 큽니다. 계약서 특약·실지 비용으로 구체화하세요.
지연된다면, 이렇게 선택하세요
임차권 등기명령
이사를 앞두고 보증금이 미지급이면 등기를 통해 대항력을 유지하며 이사할 수 있습니다. 관할 법원에 신청합니다.
지급명령(독촉절차)
분쟁이 단순하고 서류가 명확하면 신속한 집행권원 확보에 유리합니다. 이의가 있으면 본안으로 넘어갑니다.
보증금 반환 소송
공제범위·하자 책임 등 쟁점이 크면 본안소송으로 권리를 확정하고, 판결 후 강제집행·배당요구로 회수합니다.
분쟁을 줄이는 증빙 팁
사진·영상 기록은 입주 시와 퇴거 직전 각각 촬영해 비교 가능하게 보관하세요. 촬영일시가 표시되면 더욱 좋습니다.
정산 명세는 관리비·공과금 고지서, 수리비 견적·영수증을 첨부해 항목별로 작성합니다. 이메일·문자로 송부해 기록을 남기세요.
요구 기한 특정이 중요합니다. 반환기한과 입금계좌를 특정한 문서를 우선 발송하고, 불이행 시 내용증명으로 재차 통지합니다.
보증금, 빠짐없이 돌려받도록 함께하겠습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착수금 0원으로 시작합니다. 내용증명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소송·경매 집행까지 결과로 보답하겠습니다.
전담 변호사 1:1 진행
의뢰 이후 한 사건·한 변호사 원칙으로 밀착 대응합니다.
검증된 경험
전세금 반환 200건+, 명도 450건+, 제소전화 3,000건+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을 세웁니다.
신뢰받는 전문성
부동산·민사 전문변호사 자격과 다양한 방송·강의 출연 경력을 보유합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