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 내용증명 후기 실전 경험담으로 배우는 보내는 법과 반송 대응
본문
전세금 내용증명 후기 한 번 보내고 끝이 아니었습니다
계약만료가 다가오는데도 반환 약속이 흐릿해 걱정이셨나요. 실제 의뢰인의 발송 경험을 토대로, 보내는 법부터 반송이 왔을 때의 대응, 배달증명과 이후 절차까지 “후기”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우체국과 전자내용증명 중 무엇을 선택했는지, 비용과 기간은 어떠했는지도 솔직히 담았습니다.
1. ‘보내는 법’부터 막히던 날
계약만료 두 달 전, 우리는 문자로 갱신 거절 의사를 밝혔지만 답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전세금 내용증명을 준비했죠. 처음엔 전자내용증명으로 초안을 만들고, 같은 내용 3부를 출력해 우체국 창구에 접수했습니다. 접수 시에는 임대차계약 주소(동·호수까지), 보증금 액수, 만료일, 입금받을 계좌와 기한, 미이행 시 지급명령 또는 소송 등 후속조치를 분명히 적었습니다. 창구에서 접수 후 안내받은 소요기간은 보통 1~3일, 수신인 수에 따라 비용이 달라졌고, 접수증과 등기번호로 배달조회를 확인했습니다.
2. 예상 밖의 ‘반송’ 그리고 다시 한 번
첫 시도는 폐문부재로 반송되었습니다. 당황스러웠지만 오히려 배운 게 많았습니다. 우리는 전입세대열람내역과 등기부 주소를 다시 대조해 주소보정을 했고, 동일한 내용으로 재발송했습니다. 동시에 혹시 모를 분쟁에 대비해 발송후배달증명도 신청하여 ‘배달 성공/실패 사유’가 문서로 남도록 했습니다. 두 번째 발송은 도달되었고, 배달결과를 확보하자 집주인의 태도가 달라졌습니다.
3. 후기가 알려준 작성 포인트
후기에서 공통적으로 유용했던 요소는 다음이었습니다. (1) 임대차계약 정보와 금액, 만료일을 정확히 적을 것. (2) ‘언제까지, 어디로’ 입금하라는 기한과 계좌를 명확히. (3) 기한 내 미반환 시 임차권등기명령, 지급명령 또는 소송, 나아가 강제집행까지 진행할 수 있음을 고지. (4) 문자·카톡 등 이전 통지 이력도 날짜와 함께 요약. (5) 우체국 발송이면 3부 원칙과 등기번호, 필요 시 배달증명까지 챙기기. 이 다섯 가지만 지켜도 ‘받았느냐’ ‘언제 도달했느냐’라는 다툼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4. 도달 후에도 끝은 아니었습니다
도달이 확인되어도 바로 입금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부터는 현금 회수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이사 일정을 고려해 먼저 임차권등기명령으로 대항력을 잇고, 병행하여 지급명령 신청으로 판결에 준하는 집행권원을 서둘렀습니다. 필요하면 본안소송으로 전환하고, 확정 뒤에는 소송비용액확정과 강제경매 등 집행절차로 이어가 회수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첫 단추는 내용증명이지만, 마지막 단추는 ‘집행’에서 채워졌습니다.
무료로 시작, 끝까지 동행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착수금 0원으로 시작해, 내용증명부터 임차권등기명령, 소송, 집행까지 한 흐름으로 안내합니다. 사건은 결국 전담 변호사 1명이 책임지고 진행합니다. 경험이 많은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실제 회수에 유리합니다.
[안내] 본 내용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한 일반 정보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