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직전부터 판결 이후까지 끝까지 받아낸 전세보증금반환소송 후기
본문
이사 직전부터 판결 이후까지 끝까지 받아낸 전세보증금반환소송 후기
반환 요구, 임차권 등기명령 준비, 지급명령·소송 선택, 지연이자와 강제집행까지 실제 흐름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배경과 목표
임대차가 만료되었지만 반환 약속이 계속 미뤄져 불안하셨습니다. 임차인께서는 계약 종료와 인도 준비를 갖춘 뒤 확실한 회수를 목표로 하셨고, 저희는 증거 확보→신속한 청구→지연이자 포함 회수를 계획했습니다.
진행 요약
사례 전개
1) 반환 요구와 증거 정리 — 만기일, 보증금 액수, 연장 거절 의사, 계좌 안내 등을 문자로 남기셨습니다. 입주·전입·확정일자 등 기초권리 요건도 함께 확인해두셨습니다. 2) 임차권 등기명령 — 이사를 서둘러야 하는 사정이 있어 점유를 이전하더라도 대항력·우선변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등기를 진행했습니다. 3) 지급명령과 소송 선택 — 연락이 단절되는 구간에서는 지급명령으로 신속 대응을 시도했고, 이의가 제기되자 곧바로 본안으로 전환했습니다. 4) 지연이자 청구 — 소장 송달 전 구간의 이행지체, 소장 송달 이후의 법정 이율 구간을 나누어 산정했습니다. 5) 강제집행 — 판결 확정 후 재산조회를 거쳐 부동산·채권 압류 등 실집행으로 연결했습니다.
놓치기 쉬운 포인트
지연손해금 구간 구분
소장 송달 전·후 이율이 달라 합계가 달라집니다. 날짜별 정리가 중요합니다.
임차권 등기명령
이사를 앞두면 권리 유지 장치가 필요합니다. 등기 후에도 청구·집행은 이어갈 수 있습니다.
집행 대비
판결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부동산 경매·채권압류 등 실집행 계획을 미리 세워야 합니다.
후기 메모
“절차가 복잡해 보였지만, 각 단계에서 무엇을 결정해야 하는지 안내를 받으니 막막함이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반환 요구 시점과 소장 송달 이후의 계산 기준을 명확히 나눈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원금과 더해 청구한 지연손해금까지 정리하여 회수했고, 만약을 대비한 강제집행까지 준비해 불확실성을 크게 낮출 수 있었습니다.”
댓글목록0